본문 바로가기
  • 일을 사랑하는, 사랑해서 더 잘하고 싶은

취미/글쓰기5

1-4. 도입부의 구성 도입부의 역할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문서의 주제를 알게하고, 본론을 읽게 하기 위한 길잡이이다. 도입부에는 "무엇에 대해, 무엇을 위해, 누가, 누구에게 쓴 것인가" 라는 커뮤니케이션 설정을 설명한다. 도입부 첫머리에서 '무엇에 대해, 무엇을 위해 이 글을 쓰는가'를 드러낸다. 도입부에서 문서의 목적, 필요성, 기대하는 반응 등을 밝힌다. 제안서 도입부의 형식적인 인사말은 본론의 길잡이를 전혀 하지 못한다. 인사말 내용에 제안서를 작성한 배경, 제안 내용, 제안의 효과, 제안에 대한 피드백 등을 포함해야 한다. 커뮤니케이션 설정의 공유 주제 읽는 사람은 해당 문서가 무엇에 대해 쓴 것인지를 알 수 있어야 한다. 주제는 답변해야 할 질문이다. ex. 주제 → 질문: 베타사에서는 파견 기술자의 능력 향상을.. 2021. 11. 15.
1-3. 본론의 구성 2 : 로지컬 씽킹의 실천 로지컬 씽킹의 도구를 사용해 문서의 본론을 실제로 어떻게 구성할까? 논리 유형의 구성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결론에서 근거로 고객이 빈번하게 질문하거나 사내 업무관련 질문에는 전달자가 잘 알고 있는 정해진 답을 제시하기 마련이다. 이미 결정된 결론의 근거로 A, B, C 세 가지 요소를 제시하고 MECE로 정리된 것인지 확인한다. 나아가 요소 A의 근거로 a-1, a-2 두 가지를 제시한 다음 이 또한 MECE에 맞는지 확인한다. 근거에서 결론으로 정보를 모았지만 결론이나 근거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획득한 정보와 검토 결과에 So What? (결론적으로 어떻다는 뜻인가?)라고 자문자답이 필요하다. 다음 논리 유형의 하위 요소에서 상위 요소로 결론을 확정지어나간다. 1.. 2021. 11. 15.
1-2. 본론의 구성 1 : 로지컬 씽킹의 개론 '논리적'이라는 의미를 이해한다 설명하려는 내용을 단순히 나열하지 말고 그룹으로 나눈다. 그룹으로 나눈 정보로 알 수 있는 내용의 요점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논리적으로 사고를 정리하는 도구를 확보한다 MECE: 중복, 누락, 혼재 없이 나눈다 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유형 1. 요소를 분해한다. 사람을 남성/여성으로, 고객을 성별/연령 등 전체를 구성 요소로 나눈다. 2021. 11. 15.
1-1. 구성의 준비 비즈니스에서 글쓰기를 이해한다 비즈니스 글쓰기의 목적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는 전달자, 수신자, 주제, 답변(주제에 대한 설명), 기대하는 반응이 있다. 전달자와 수신자 사이 문서에는 주제가 존재한다. (ex. 신제품 시장 점유율 신장 보고서 작성) 보고서에 대한 답변은 보고 내용, 제안서라면 제안 내용, 의뢰문이라면 의뢰 내용이 답변이 된다. 답변을 제시한 뒤 수신자에게 원하는 반응과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이 바로 기대하는 반응이다. (ex. 좋았어. 보고대로 진행해주게) 글을 쓰기 전에 조심할 함정 무엇에 대해 쓸지 주제가 애매한 경우 무엇을 답변으로 할지 고민스럽다. 무엇을 위해 써야하는지, 즉 기대하는 반응이 불분명한 경우 어떤 반응을 기대할지 인지하지 못한 채 답변을 어떻게 정리할지 고민스럽다 →.. 2021. 10. 21.
로지컬 라이팅 앞으로 이 책을 읽고, 저의 글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2021.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