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을 사랑하는, 사랑해서 더 잘하고 싶은
취미/글쓰기

1-3. 본론의 구성 2 : 로지컬 씽킹의 실천

by 송에디터 2021. 11. 15.

로지컬 씽킹의 도구를 사용해 문서의 본론을 실제로 어떻게 구성할까? 논리 유형의 구성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결론에서 근거로

고객이 빈번하게 질문하거나 사내 업무관련 질문에는 전달자가 잘 알고 있는 정해진 답을 제시하기 마련이다.

이미 결정된 결론의 근거로 A, B, C 세 가지 요소를 제시하고 MECE로 정리된 것인지 확인한다. 나아가 요소 A의 근거로 a-1, a-2 두 가지를 제시한 다음 이 또한 MECE에 맞는지 확인한다.

 

근거에서 결론으로

정보를 모았지만 결론이나 근거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획득한 정보와 검토 결과에 So What? (결론적으로 어떻다는 뜻인가?)라고 자문자답이 필요하다.

 

다음 논리 유형의 하위 요소에서 상위 요소로 결론을 확정지어나간다.

 

1단계. 질문을 확인하고 논리 유형을 선택한다

몇 가지 질문에 답해야 하는지 확인한다. → 병렬형과 해설명 중 답변 구성 방식을 정한다.

 

2단계. 위에서 아래로 MECE에 맞게 틀을 만든다

병렬형이라면 MECE, 해설형이라면 사실/판단기준/판단내용이 되도록 답변을 구성한다. 하위 요소 역시 MECE로 묶는다.

 

3단계. 아래에서 위로 So What? / Why So? 한다

맨 아래 틀 부터 So What?이라고 자문하면서 어떻게 설명할지 결정한다. 논리 유형의 아래쪽 요소일수록 원래 정보에 가깝다.

'취미 >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도입부의 구성  (1) 2021.11.15
1-2. 본론의 구성 1 : 로지컬 씽킹의 개론  (6) 2021.11.15
1-1. 구성의 준비  (2) 2021.10.21
로지컬 라이팅  (0) 2021.10.18

댓글